구 분 | 교육대상 | 교육시행주체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현장단위 지역주도 교육체계 | 주민 | 시·군 기초센터, 현장센터 | 도시재생대학 |
광역단위 지역주도 교육체계 | 전문가(코디네이터) | 광역 센터 | 도시재생대학 |
중앙교육 | 총괄코디네이터 | LH 지원기구 | |
지자체 공무원 |
<2017년 도시재생 뉴딜 주민교육 중>
ㅇ 지역 주민이 자발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소규모 점 단위 사업에 참여토록 하여, 주민이 도시재생사업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지원
ㅇ 도시재생 사업지 외 지역의 주민제안사업('18년 뉴딜 신청예정지 가능)
ㅇ (지원내용) 주민이 제안하는 마을도서관 등 소규모 H/W 사업 및 주민소식지 발간 등 공동체 형성 S/W 사업 지원
ㅇ (예산규모) 국비 총 50억, 사업별 5천만 원 ~ 2억 원(지자체 별도매칭 50%)
ㅇ (지원기간) 사업별 1~2년
사업내용(예시) | 결과물 |
---|---|
① 집수리 등 도시재생 경제조직 설립‧운영 | 도시재생 경제조직 설립 |
② 상생협약 협약서(안) 마련 및 협약 체결 | 상생협약 협약서, 협약대상 리스트(상인 등) |
③ 빈집 리모델링 활용방안 및 조례안 마련, 시범사업 실시 | 빈집리모델링 조례(안) |
④ 골목길‧간판 정비 및 담장 허물기(골목 주차면 확보 등) | 간판정비 등 |
⑤ 공동체 활동거점 조성, 마을 공동서비스 제공·운영 등 | 공동체 거점 공간, 공동체 운영 프로그램 |
⑥ 마을 공방, 북카페, 도서관 등 주민참여·운영 | 공예 체험방, 마을 도서관 운영 |
⑦ 안전지도 만들기 등 마을안전 관리 | 마을지도, 마을안전 관리 지침 |
⑧ 지역자산 조사 등을 포함한 재생계획 수립 | 역사문화자산 기록화, 마을 역사문화 아카이빙 |
⑨ 마을공동체 행사 등 문화 프로그램 운영 | 주민 주도 프로그램 운영 |
⑩ 주민 소식지 발간 등 기타 | 소식지 정기발간 |
ㅇ 지역주민과 관련분야 전문가를 팀 형식으로 매칭하여 구성, 뉴딜사업 추진 全 단계(구상, 사업화, 운영)에서 서비스 디자인 기법, 경영 컨설팅 등을 활용하여 특정 과제(사업·창업, 재생사업계획 수립, 재생이슈도출) 수행
ㅇ (주민) 일반주민, 예비 창업가 등으로 구성, 도시재생 계획수립·서비스 디자인 도입·사업화 등의 공급자이자 수요자 역할 수행
ㅇ (전문가) 서비스 디자이너, 도시재생지원센터 직원, 갈등관리 전문가, 건축·도시·금융 경영 분야전문가 등으로 구성, 사업화 아이템도출, 전문성 보완, 경영컨설팅, 현장문제 해결 등 역할 수행
ㅇ (자금지원) 팀당 약 1,500만 원 이내의 전문 컨설팅 및 운영비 지원
ㅇ (사업 참여 지원) 도시재생뉴딜 계획수립‧사업시행 과정에서 프로젝트팀을 통해 설립‧운영된 경제주체의 사업 참여 지원
ㅇ 도시재생 경제주체 등이 시행하는 다양한 분야 초기사업비, 도시재생(현장)지원센터가 공동체활성화 및 주민 일자리 창출 등의 목적으로 지역주민 등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교육프로그램 지원
ㅇ 마을기업, 협동조합, (예비)사회적 기업 등 도시재생 경제조직, 전국 광역‧기초(현장) 도시재생지원센터
ㅇ 주민주도 창업·사업을 위한 실전형 교육비 및 도시재생 경제주체의 초기사업비(집수리, 시설관리, 문화·예술, 복지, 기획 등)
ㅇ 건당 최대 500만원, 도시재생 지원센터 당 연간 최대 2,000만 원
ㅇ 도시재생 한마당, 도시재생 청년 해커톤, 도시재생 활동가 워크숍 등 행사 개최 시, 사업계획발표 등을 통하여 우수 계획안을 선발하여 시상(추가 지원 등)하는 방식으로 집행도 가능
ㅇ 국토‧교통 분야에 특화된 다양한 사회적기업을 육성‧지원하고, 사회서비스의 확충 및 일자리와 소득창출 등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, 궁극적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
ㅇ 「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」에 따른 도시재생사업과 관련된 분야
ㅇ 「국가균형발전특별법」에 따른 도시활력증진개발사업과 관련된 분야
ㅇ 달동네 등 주거취약지역을 재생하는 새뜰마을사업(도시)과 관련된 분야
ㅇ 「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」에 따른 주택임대⋅관리업과 관련된 분야
ㅇ 제시된 분야 외 기타 도시재생뉴딜 관련 사업
ㅇ 부처형 전문지원기관((사)한국마이크로크레디트 신나는 조합, ☎02-365-0346)
ㅇ 권역별 지원기관(☎1800-2012)
ㅇ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(☎031-697-7791)
ㅇ LH 도시재생지원기구(☎042-866-8372)